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61

1. 천리학 관성의 법칙 관성의 법칙에 대해서는 다시 공부하시는 것이 좋으실 것 같네요. 오해하고 계십니다. 일단 근거 1과 2를 보면, 이건 아무 의미 없는 말입니다. 물리는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학문입니다. 모든 과학은 물리로 결국 환원됩니다. 따라서 물리학의 법칙들은 하나하나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논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일반적인 법칙이고, 그리고 결국 그 법칙이 말하는 것은 하나의 '원리'입니다. 큰 원리를 설명할 때는 당연히 '가정'이 들어가야 하죠. 그리고 근거 3도 마찬가지입니다. 제발 오해 없으시길. 이건 물리학입니다. 물리학은 주체의 의지는 논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물리학에서 논하지 않는 것을 그 안의 한 법칙보고 설명하라고 하는 것은 뭡니까. 이슬람교의 모순에 대한 부분은, 일단 마호멧이 받은 계시를 '증.. 2021. 5. 8.
별에 관한 하나의 견해, 제2부 초안 작년 이맘 때, 저 글을 시작한 이후로 약 1년의 시간이 흘러갔다. 이제 다시 기온도 적당해졌고, 이미 약속한 대로 저 글의 제2부를 마저 적어나가야만 할 것 같다. 대충 아래와 같이 제 2부의 초안을 잡아 본다. ******************************************************************************************* ******************************************************************************************* 은하계 속 우리의 태양, 별에 관한 하나의 견해, 제2 부 -사람의 千年, 神의 하루 1. 태양, 태양계에 관련된 몇 가지 자료들 태양의 크기, 공전 속력, 자전 속력,.. 2021. 5. 8.
공중도시의 문제점 애초에 공중도시라는 개념 자체가 로망과 스토리에 필요해서 등장하는 거지, 실제로 효용성이 있어서 등장하는 건 아닙니다. 물론 나중에 지구가 포화상태가 된다면 미래의 아파트 비스무리하게 각광받을지도 모르지만 사실 그런 상황이 되더라도 지하 도시, 해저도시, 우주 거주구가 훨씬 현실성 있고, 그 정도로 못 버틸 스케일이 되면 차라리 행성도시로 가는 게 비용 대비 효율도 좋아서 공중도시는 절대 안 나온다고 봐도 좋습니다. 가끔 가다 공중도시를 때려부숴서 떨궈버리려는 反공중도시파들도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기어코 성공하기도 합니다. 안전성: 공중도시는 말 그대로 공중에 떠있기 때문에 도시 바깥은 황천길이나 마찬가집니다. 잘못해서 사람이 떨어지면 그대로 사망 확정입니다. 만약 공중도시 전체가 추락하면 일단 추.. 2021. 3. 30.
공중도시의 개념과 원리 말 그대로 하늘을 저는 도시. 하늘을 저는 도시는 아니지만 마추픽추가 높은 곳에 위치해있는 것 때문에 공중도시로 소개가 되고는 합니다. 2. 개념[편집] 과거 SF에는 금성의 대기를 날아다니는 비행 콜로니 같은 것이 등장하긴 하지만, 현재 공중도시라고 하면 거의 대부분 지구 내에서 날아다니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하늘을 저는 것은 인류의 꿈이라고 하던가. 거의 대부분 산을 뒤집어놓은 듯한 바위나 흙덩어리 위에 건물이 올라앉은 모양새를 하고 있으며, 가끔 가장자리에 폭포가 있기도 합니다. 즉 부유도 위에 지어진 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끔 바리에이션으로 소라껍데기 위에 올라앉은 것이라든가, 우주를 저는 고래 위에 올라앉은 것도 있습니다. 또한 아무나 공중도시로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시설이 존재합니.. 2021. 3. 30.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역사 FPS 게임 바이오쇼크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자 게임대 시간상 프리퀄(1912년)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1편을 제작했던 이래셔널 게임즈에서 제작하였습니다. 1, 2편이 모두 디젤펑크 분위기의 해저도시 랩처를 배경으로 하는 데 비해, 이번에는 스팀펑크 분위기를 풍기는 공중도시 컬럼비아를 배경으로 합니다. 이번 작품은 1890년 미국의 연방 하원의원 이그네이셔스 로욜라 도널리(Ignatius Loyola Donnely)가 쓴 Caesar's Column이라는 소설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실제로 도널리가 쓴 소설에도 미국의 하늘 위를 떠도는 강대한 기계도시가 등장하며, 본 게임과 비슷한 사건들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전작들과 비슷한 기술관을 갖고 있으며, 빅 대디와 유사한 컨셉의 괴수인 송버드를 볼 수 있.. 2021. 3. 30.
우주의 신비 4탄 양자적 평행우주와 인플레이션 다중우주, 경관 다중우주의 차이점 양자적 평행우주란 게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이라는 개념으로 만들어지는 거라면 인플레이션 다중우주, 경관 다중우주는 '다른 것'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양자적 평행우주란 것은 원본우주 A로부터 '있을 수 있는 가능성'으로 파생되는 A-1, A-2, A-3, 그리고 또 거기서 파생되는 A-1-1, A-1-2, A-2-1 …이라면 인플레이션 다중우주, 경관 다중우주는 그냥 원본우주 A, B, C, D 이런 식입니다. 좀 더 알기쉽게 설명하자면 평행세계는 기본적으로 우주적인 구조(항성계)는 우리가 사는 우주와 동일하지만 지구(정확히는 인류)가 조금씩 다른 역사를 가진 채 존재하는 것이라면, 다중우주는 그냥 다른 차원에서 또다른 빅뱅이 일어나 우주가 다르게 시작했으므로 태양계는 커녕 사실상 지구가 존재하지 않을 .. 2021. 3. 29.
반응형